[위령공 13]
장문중은 직위를 훔친 자이다. 유하혜의 현명함을 알면서도 그와 함께 조정에 서지 않았다.
장문중광 유하혜는 노나라의 대부이다. 장문중이 유하혜의 현명함을 알고도 조정에 세우지 않음을 말하며 지인의 안목과 용인의 덕목을 갖춰야 하는 벼슬아치의 능력과 의무를 말하며 장문중을 비판하고 있다.
[위령공 22]
군자는 말만 듣고서 사람을 등용하지 않고, 사람만 보고서 말까지 버리지는 않는다.
군자는 다른 이의 말만 듣고 경솔히 등용하지 않으며 사람의 신분과 행위를 바탕으로 말까지 평가하고 판단해서는 안됨을 의미한다.
[계씨 4]
유익한 벗에 세 가지, 해로운 벗에 세 가지가 있다. 정직한 사람과 벗하고 미더운 사람과 벗하며 견문이 많은 사람과 벗하면 이롭다. 겉치레만 하고 곧지 않은 사람과 벗하고 아첨을 잘 하는 사람과 벗하며, 말만 번지르르한 사람과 벗하면 해롭다.
유익한 벗과 해로운 벗의 세 가지 특징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편벽 : 말하는 것만 익숙하고 실상은 없는 것
[계씨 10]
군자에게는 아홉 가지 생각할 것이 있다. 볼 때는 분명히 보았는가 생각하고, 들을 때는 명확히 들었는가 생각하고, 얼굴빝은 온화하게 했는가 생각하며, 말은 진실한지를 생각하고, 일을 처리할 때는 신중히 했는지 생각하고, 의심이 날 때는 물어보기를 생각하고, 화가 날 때는 뒤에 생길 어려운 일을 생각하고, 재물을 보면 의로운 것인가 생각한다.
생각한다는 것은 곧 조심해야 할 것, 주의해야 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군자가 생각할 아홉가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계씨 12]
제나라 경공은 말 4천 필을 가졌어도 그가 죽을 때 백성들이 그의 덕을 칭송하지 않았다. 백이와 숙제는 수양산 아래에서 굶어 죽었지만 백성들이 지금까지 그들을 칭송한다. 그것이 이걸 두고 이르는 말인가.
부유함을 가진 인물이 칭송받는 것이 아닌 덕을 가진 인물이 칭송받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씨 13]
진항과 백어
"당신은 특별한 말을 들은 게 있습니까?"
"없습니다. 전에 홀로 서 계시는데 내가 종종걸음으로 뜰을 지나는데, 말씀하시기를 '시를 배웠느냐?' 하셔서 '아직 배우지 못했습니다' 하였더니, '시를 배우지 않으면 말을 할 수 없느니라' 하셨습니다. 그래서 저는 물러나 시를 배웠습니다. 다른 날 또 홀로 서 계실 때 내가 종종걸음으로 뜰을 지나는데, 말씀하시기를 '예를 배웠느냐' 하셔서 '아직 배우지 못했습니다' 하자 '예를 배우지 않으면 남 앞에 설 수가 없다' 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나는 물러나서 예를 배웠습니다. 이 두 가지를 들었습니다."
"하나를 물어서 셋을 얻었다. 시를 들었고, 예를 들었고, 군자가 그 아들을 편애하지 않는다는 것을 들었다."
백어는 공자의 친아들이다. 진항이 백어에게 물음으로서 공자가 아들이라고 하여 다른 문인과 차별하는 부분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공자는 혈연중심주의, 연고주의에서 벗어나 가족에서조차도 공공성을 실현하며 가까운 가족에서 시작하여 사회로 확장하는 공자의 이념을 확인 할 수 있다.